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일차 -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AI 솔루션 개발자과정(Java, Python) 2022. 10. 13. 11:27

    불(Bool) 자료형과 if 조건문

    'Boolean'은 불린 또는 불리언이라는 발음으로 불린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짧게 'Bool'이라고 쓴다.

    불은 오직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질 수 있다.

    참과 거짓은 '어떤 명제'의 결과가 될 때 의미를 갖는다.

     

    불 만들기 : 비교 연산자.

    불은 '비교 연산자'를 통해 만들 수 있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숫자 또는 문자열에 적용할 수 있다.

    문자열에 적용한 비교 연산자는 사전에 있는 순서(한글은 ㄱㄴㄷㄹ)대로 앞에 있는 것이 작은 값을 갖는다.

     

    불 끼리는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논리 연산자

     

    not 연산자

     

    'not 연산자''단항 연산자'로, 참과 거짓을 바꿀 때 사용한다. 실행하면 True와 False가 서로 바뀐다.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한 개라는 말이고, 이항 연산자는 두 개라는 말이다.

         단항 연산자의 대표적인 예로 부호 연산자가 있는데, -10은 10을 음수로 만들기 위한 마이너스(-)연산자는 피연산자를 한 개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항 연산자라고 부른다.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

     

    'and 연산자'양쪽 변의 값이 모두 참일 때만 True를 결과로 낸다.

    'or 연산자'둘 중 하나만 참이여도 True를 결과로 낸다.

     

    논리 연산자의 활용

     

    and 연산자는 예를 들면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선

    1. 교통카드를 소지해야한다.

    2. 교통카드에 1회이용료 이상의 잔액이 남아있어야한다.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and 연산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or 연산자는 물건을 결제할 때 결제한 카드가 oo카드나 ㅁㅁ카드라면 할인해 준다. 라는 조건은

    둘 중 하나라도 있으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고 나타낼 수 있다.

     

     

    if 조건문이란?

     

    '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

    이는 코드의 실행 흐름을 변경한다는 뜻이다.

    이처럼 조건을 기반으로 실행의 흐름을 변경하는 것을 '조건 분기'라고 한다.

    조건문은 조건문의 다음 문장은 들여쓰기(4칸 띄어쓰기 or TAB)를 한 후 입력한다.

     

     

    짝수와 홀수 구분하기

     

    사람은 보통 숫자의 끝자리가 0, 2, 4, 6, 8이라면 짝수다 라고 배웠다.

    하지만 이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코드가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간략하게 수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단순하게 2로 나눈 값의 나머지가 0이라면 짝수, 1이라면 홀수라고 지정한 것이다.

     

    사람들은 숫자 끝자리가 0, 2, 4, 6, 8이라면 곧바로 짝수라고 생각하지만, 컴퓨터는 2로 나눈 나머지가 0인지를 확인하는게 더 빠르다.

    그래서 조건문을 만들 때는 언제나 컴퓨터는 어떻게 하는게 더 빠를까 생각하는게 좋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