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개발자과정 1일차 - 파이썬에 대하여AI 솔루션 개발자과정(Java, Python) 2022. 10. 7. 17:50
첫 강의인 만큼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부분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program)이란 영어로 프로(pro)+그램(gram)이 합쳐진 단어이다.
pro는 '미리'라는 뜻이고, gram은 '작성된 것'이다. 즉, 미리 작성된 '계획'이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프로그래밍' 이라 하고, 프로그램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가 자바, 파이썬, c언어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코드가 '소스 코드', 반대로 이 코드들을 컴퓨터가 이해하게 변환한 것이 '이진 코드'이다.
앞으로 사용할 교제는 한빛미디어에서 출간한 '혼자서 공부하는 파이썬'이며, 프로그램은 '파이썬(Python)'과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이다.파이썬(Python)
지금 배우는 과정은 파이썬을 이용한 과정으로, 파이썬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 비전공자(입문자)도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이다.
파이썬은 문법이 간단하여 배우기 쉽다.
*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기본적인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부터 웹 서버, IoT, 인공지능 등에 활용된다.
*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여러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어도 사용 방법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파이썬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단점
* 느리다.
일반적으로 c언어보다 10~350배 정도 느리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이 매우 좋아져서 고성능 게임 등과 같이 연산이 많이 필요한 프로그램이 아니면 속도차이를 느낄 수 없다.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일반적으로, 긴 코드를 작성하는 현업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텍스트 에디터를 활용해서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파이썬의 용어
'문장'은 실행할 수 있는 코드의 최소 단위이다. 문장들이 모이면 '프로그램'이 된다.
다음 용어들은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 '표현식'은 어떠한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이다.
* '키워드'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 사용자는 키워드와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없다.
* '식별자'는 문자열에 이름을 붙이는 것. 똑같은 데이터에도 여러 개의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스네이크 케이스 : 단어 사이에 언더 바(_)기호를 붙여 구분한다. # item_list
> 스네이크 케이스 뒤에 괄호가 있으면 함수, 없으면 변수.
-캐멀 케이스 :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들어 구분한다. # itemList
> 캐멀 케이스로 작성되어 있으면 클래스
식별자를 붙이는 것은 개발자의 몫이므로, 직접 이름을 짓는 센스도 때론 필요하다.
* '#' 은 '주석'으로 사용자에게만 보이는 내용이다.
* '연산'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용한다.
* '연산자'는 값(data)) 과 값 사이 무언가 기능을 작용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연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 1 + 1, 51 + 49 ...
프로그램(명령의 집합)은 결국 두가지로 구성된다.
1. 자료를 표현한다.
2. 자료를 처리한다.
#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건 자료, 이를 저장하는 행동은 처리.
*자료(literal, data)*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것.
* 자료형(Data Type)
* 문자열(string) : 메일 제목, 메시지 내용 등. # 안녕하세요. Hello.
* 숫자열 : 1, 10, 100~
* 불(bool) : 옳고 그름을 판단한 데이터. # True, False* 문자열 만들기.
* "따움표로 감싸 입력한 자료".
따움표는 ',",''' 3가지 종류가 있으며, 따움표 안에 동일한 따움표는 들어갈 수 없다.
#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X)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O)
단, 이스케이프 문자(\)를 조합하면 사용 가능하다. #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O)
* 여러줄 문자열 : '''(""")사용 시 줄바꿈 가능.
* 출력print(자료) : 간단한 출력을 담당하는 명령문.
'함수'라고도 부른다.
type(자료) : 자료의 형태를 출력해주는 명령문.
# type(4) : int(정수를 나타내는 integer) / type(a) : str(문자를 나타내는 string)'AI 솔루션 개발자과정(Java,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차 - 파일 처리와 예외 처리 (0) 2022.10.18 5일차 - 함수와 람다 (2) 2022.10.14 4일차 딕셔너리와 반복문 (0) 2022.10.13 3일차 -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0) 2022.10.13 2일차 - 파이썬의 문자열 (0) 2022.10.11